옆집

투자 일기 - 2024년 12월 결산 (VR, 자산배분, 퀀트투자+세븐스플릿, 비트코인, 이더리움) 본문

일상, 삶/경제적 자유

투자 일기 - 2024년 12월 결산 (VR, 자산배분, 퀀트투자+세븐스플릿, 비트코인, 이더리움)

여해® 2025. 1. 6. 20:49
728x90
반응형

 

TQQQ VR

라오어님의 TQQQ VR을 내 상황에 맞게 살짝 변형
 
 

 

 

 

 

52주 차-> 56주 차 4개 매도 


52-54주차 사이에 끝을 모르고 치솟던 TQQQ 주가가 그 다음주에 바로 처박히는 것을 보고 다시 한 번 다짐했다. 내가 지금 보는 수익금 중 80%는 거품이라고 생각해야 한다고. 아무래도 3배 레버리지가 주는 짜릿함 때문에 제일 많이 들여다보는 계좌이지만, 다시는 이게 내 인생을 바꿔줄 거라거나 더 투입을 해봐야겠다거나 그런 생각은 안 하고 있다. 

 

 

자산배분, 퀀트투자+세븐스플릿

주식, 금, 채권, 농산물에 배분 / 주식 종목은 저평가 종목 5개, 시총 상위 종목 5개 세븐스플릿 전략
저평가 종목은 기간 중 10% 이상 상승하면 매도, 월말에 무지성 익절 only (손절 x)
 

자산 종류 11월~4월 5월~10월
한국주식 25.00% 10.00%
미국주식 25.00% 10.00%
10.00% 10.00%
농산물 5.00% 5.00%
한국중기채 17.50% 32.50%
미국중기채 17.50% 32.50%

 
자산 배분 비율은 11~4월 버전으로. 2024년 12월부터 농산물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였다. 
 
12월 6일 기초 35,000,000원 

자산 종류 비율 금액
한국주식 25.00% 8,750,000
미국주식 25.00% 8,750,000
10.00% 3,500,000
농산물 5.00% 1,750,000
한국중기채 17.50% 6,125,000
미국중기채 17.50% 6,125,000

 


1월 3일 현재 35,716,689원

자산 종류 비율 금액
한국주식 24.69% 8,816,776
미국주식 25.30% 9,035,525
10.47% 3,739,969
농산물 4.92% 1,758,310
한국중기채 17.05% 6,089,003
미국중기채 17.57% 6,277,106

 

원화의 지속적 약세, 달러의 강세로 환율이 치솟고 있다. 국내 주식이 3년간 답이 없으면 정리하겠다는 나의 다짐을 뒤흔들려 국내장이 꽤 선방해 주었다. 국고채 알채권을 몇 개 산 것이 값이 많이 떨어졌다. 채권은 아직도 잘 모르겠어서 ETF에만 의존하지 않고 공부 겸 사보는 것인데 거래 시간도 제한적이고 예약 매수매도가 안 되는데다 거래량이 많지 않아 좀 많이 어렵게 느껴진다. 

 

농산물은.. 원래 CORN 이런 미국 상장 ETF를 사려 했으나, PTP세금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진짜 큰일날뻔.. 고민하다가 우리나라의 몇 없는 농산물ETF 중 KODEX 3대농산물선물(H)을 선택했다. 선택지가 두 개뿐이라 고민도 길게 안 했음. 왜인지 모르겠으나 농산물 ETF는 모두 환헷지를 해서.. 달러에 노출시키고 싶었던 나로선 조금 아쉽다. 

 

 

 

 

파인테크닉스가 갑자기 상한가를 쳤다. 창피한 말이지만 작년에 수치만 보고 저평가 주식이라고 사놓고도 정치주인줄 몰랐던 것인데.. 내가 도대체 무슨 주식에 손을 댄 거야? 싶어서 익절 가능한 시점이 오자마자 팔아버렸다. 퀀트투자에 대해 불신이 생긴다고 하자마자 한 달만에 이런 일이 있다니 정말 사람 일은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제일기획이 52주 최저가 대비 4% 밖에 차이가 안 나고 있어 새로 진입하였다.

 

에코프로비엠이 너무 꼴보기 싫다.

 

 

 

 

리뉴 에너지 RNW가 많이 올라서 10% 익절 매도 되었고, 스트란&CO를 신규 진입하였다. 시총 상위 종목으로 구성한 5개 종목 중에서 시스코 시스템즈를 미국 주식 배정 예산이 천만원 넘어가면 다시 마소로 교체할까 싶다.

 

 

 

수익 배당주 재투자 

VR 제외 당월 손익 정산 후, 실현 이익 만큼 배당주 (리얼티인컴) 투자
 

리츠 하락세....... 수익금이 (내 기준) 적지 않은데 아무리 월배당이라고 해도 리츠로만 구성하는 것은 너무 위험한 선택이었다. 수익금 중 총  투자 원금의 5%대까지는 현금으로 보유하고 (손실난 월 대비), 나머지는 변동 이율이라 매월 이자가 높아지고 있는 신용대출금을 상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였다.

 

 

외화 보유 

포린트를 10유로(평균이상)/15유로(평균이하)씩 매일 환전해 보기로 하였다. 현재까지 평균 매수환율 417.975

 

 

비트코인 VR

TQQQ로 하는 VR과 같은 방식으로, 비트코인 50만원에서 출발. 2주에 10만원씩 pool에 추가.

 

나스닥 추종하는 TQQQ의 VR 방식으로 하는 것이 과연 맞는 방법일지 고민이 많이 된다. 외화/금 보유와 같은 전략으로 가는 것이 맞지 않을까? 나스닥은 우상향한다는 믿음으로 투자하는 것이고, 비트코인은 우상향 하는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으나 언젠가 제 가격을 찾으면 (그게 언제일지, 얼마일지 몰라도) 그저 화폐의 기능을 할 것인데.

 

우선 같은 방식으로 투자를 해보다가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면 자산배분 포폴에 추가하여 일정 비율 보유하는 전략을 생각중이다. 

 

 

이더리움 50스플릿

 

이더리움 갖고 있던 것이 53만원어치인데 이걸 어떻게 할까 하다가 비트코인과는 다른 전략으로 가기로 하였다. 코인이니 비슷한 성격을 지녔다 보고 실험삼아서 두 개 다 운용해보고 맞는 방식을 선택해야겠다. 이더리움에는 우상향을 가정하지 않고 변동성을 이용해 매월 시세에 맞게 40% 매수, 1% 하락/상승마다 매수/매도 (총 50층)하는 스플릿 전략을 쓰기로 했다.

 

매월 말일 10만원을 추가투입하며 지켜볼 예정.

 

 

 

전체 투자 자산 손익 정리

 
TQQQ VR (투자기간: 378일)
당월 손익: -29,854원 (-0.19%)
누적 손익: 7,064,783원 (45.05%)
 
자산배분 (투자기간: 395일)
당월 손익: 716,689원 (2.05%)
누적 손익: 3,657,382 (10.45%)
 
배당주 재투자 (투자기간: 26일)
당월 손익: -2,475원 (-0.06%)
누적 손익: -8,274원 (-0.06%)

 

비트코인 VR (보유기간: 51일)
당월 손익: 45,211 (5.65%)
누적 손익: 70,389 (8.79%)

 

이더리움 50스플릿 (보유기간: 25일)
당월 손익: -24,219 (-3.84%)
누적 손익: -24,219 (-3.84%)
 
투자 총 손익 (투자기간: 395일)
당월 손익: 618,064원 (1.18%)
누적 손익: 11,076,212원 (26.53%)
 
연수익률 환산: 24.52%

 

728x90
반응형